탄소중립과 녹색건축인증, 생활 속 어디까지 왔나? - 정책, 산업, 그리고 개인의 실천
배철학 한국부동산원 건축물관리지원부장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시대는 끝났다. 지구열대화(global boiling) 시대가 도래했다.’ 23년 7월 UN 사무총장이 기후변화에 대하여 엄중한 경고를 하였습니다. 현재 지구는 끓고(boiling) 있습니다. 기후 위기는 더 이상 부정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여름 무더위와 폭우, 농업 및 수산업 환경의 변화는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후 위기 속에서 탄소중립 실천과 녹색건축인증 제도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녹색건축인증(구 친환경 건축물인증) 제도가 시행된 지 23년이 지났습니다. 거의 모든 국민이 녹색건축의 존재는 알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한 번쯤 들어는 봤겠죠. 하지만 어느 정도까지 이해하고 있을까요? 제대로 알고 있을까요? 기후변화와 녹색건축에 대한 국가정책, 산업, 그리고 개인의 실천이라는 세 축을 통해 탄소중립이 어떻게 우리의 삶에 스며들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정책 개발과 고도화, 하지만 따라가지 못하는 사회적 인식 녹색건축인증은 2002년 처음 도입된 이후, 2012년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제정을 거치면서 더욱 체계화되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