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은 우리나라 녹색건축의 커다란 변화가 기대되는 해이다. 왜냐하면 2030년을 향한 제3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25~’29)이 예정된 해이기도 하고, 공공건축물은 제로에너지건축물 4등급, 민간 건축물은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수준으로 건축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해이기 때문이다. 비록 어려운 경기 상황과 더 어려운 건설 환경이 겹쳐서 2024년에 시작하려 했던 민간 공동주택의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수준 계획은 1년 유예됐으나, 거대한 기후변화와 위기 속에서 탄소중립도시를 만드는 큰 방향성은 일관성 있게 추진되는 상황이다. 그 속에서는 공공건축물을 필두로 혁신을 이루어서 탄소중립도시를 조성하고, 관련 건축산업을 육성하는 큰 움직임이 있다. K-녹색건축은 그런 점에서 재미있다. 유튜브 영상을 보면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놀러 와서 “아니 이런 것도!”라는 주제의 동영상 중 K-주거 또는 온돌바닥에 대한 것들도 있다. 멀리 다른 나라에서는 어떻게 사는지 경험해 보는 게 큰 즐거움이기도 하고, 그 즐거움을 즐기는 모습을 보는 것 역시 즐겁기도 하다. 특히 한여름의 높은 기온과 습기, 한겨울의 차가운 한파를 두루 갖춘, 사계절이 다이나믹한 우리나라에서 에너지가
머리말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시대이다. 검색엔진부터 가전제품까지 인공지능이 어디에나 존재한다. 다른 산업에 비해 변화가 느리다는 건설 산업도 인공지능의 도입은 현재의 문제이다. 건축 분야에서도 파라메트릭 설계, 시공품질 및 안전관리, 건물 성능 최적화, 제어 및 운영 관리 등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가 추진되고 있다. 친환경 성능 해석 분야에도 개척되지 못한 수많은 활용처가 있는 상황이지만 인공지능의 강력함과 가능성에 비해 아직 구체성과 실용성이 낮은 상황이다. 이에 건물 에너지 및 친환경 진단·평가 전 과정에서 인공지능이 활용될 수 있는 기술들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개발 사례를 통해 인공지능의 발전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건축물 진단·평가 지능화 기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에너지를 포함한 건물 성능 해석 분야에서도 스마트 진단, 성능 예측 평가, 컴퓨터비전, 데이터 마이닝, 디지털트윈 등 다양한 신개념들이 도입되고 있다. 건축물의 설계-시공-운영 전 과정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해 진단·평가를 최적화, 자동화, 지능화할 수 있는 기술들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현재 기술의 효율성을 높이거나,